24절기 순서와 소서의 위치,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24절기 순서와 소서의 위치,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24등분 하여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우리 고유의 달력입니다. 농경사회였던 과거에는 24절기가 농사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24절기의 전체적인 순서를 알아보고, 그중 '작은 더위'를 의미하는 소서(小暑)가 1년 중 어느 시기에 해당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소서 절기에 나타나는 특징과 그 의미를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1. 24절기란 무엇인가요?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1년을 24등분 한 것입니다.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농업 활동에 중요한 지표가 되었습니다.

24절기의 의미와 중요성

24절기는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길이를 15도 간격으로 나눈 것으로, 각 지점을 절기라고 부릅니다. 이 절기들은 농사를 짓는 데 필요한 기후 변화와 시기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봄에는 씨를 뿌리고, 여름에는 작물을 가꾸며, 가을에는 수확하고, 겨울에는 다음 해를 준비하는 등 농사의 모든 과정이 절기에 맞춰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현대에도 기후 변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 계절 변화와 농사 시기를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 각 절기는 약 15일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절기와 절후의 구분

24절기는 매달 1개씩의 '절기'와 '중기(절후)'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입춘은 절기, 우수는 중기입니다. 절기는 계절의 시작을 알리고, 중기는 절기 사이의 중간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함께 계절의 변화를 보다 세밀하게 보여줍니다.

2. 24절기 전체 순서 알아보기

24절기는 춘하추동 사계절에 걸쳐 각각 6개의 절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춘으로 시작하여 대한으로 한 해를 마무리합니다. 각 절기마다 고유한 기후적 특성과 농사 활동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봄 절기 (입춘 ~ 곡우)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계절입니다. 농사 준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입춘: 봄의 시작.
  • 우수: 눈이 비가 되고 얼음이 녹음.
  • 경칩: 겨울잠 자던 개구리가 깨어남.
  • 춘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청명: 날씨가 맑고 화창함.
  • 곡우: 농사비가 내리고 곡식이 잘 자람.

여름 절기 (입하 ~ 대서)

여름은 농작물이 왕성하게 자라는 시기입니다.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 입하: 여름의 시작.
  • 소만: 만물이 점점 자람.
  • 망종: 곡식의 종자를 뿌리는 시기.
  • 하지: 낮이 가장 김.
  • 소서: 작은 더위 시작.
  • 대서: 큰 더위 시작.

가을 절기 (입추 ~ 상강)

가을은 수확의 계절입니다. 날씨가 점차 서늘해집니다.
  • 입추: 가을의 시작.
  • 처서: 더위가 가시고 선선해짐.
  • 백로: 흰 이슬이 내림.
  • 추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한로: 찬 이슬이 내림.
  • 상강: 서리가 내림.

겨울 절기 (입동 ~ 대한)

겨울은 추위가 시작되고 다음 해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 입동: 겨울의 시작.
  • 소설: 첫눈이 내리기 시작함.
  • 대설: 큰 눈이 내림.
  • 동지: 밤이 가장 김.
  • 소한: 작은 추위.
  • 대한: 큰 추위.
계절 주요 절기 대표적인 특징
입춘, 경칩, 춘분, 곡우 새싹이 돋고 농사 준비 시작
여름 입하, 하지, 소서, 대서 작물이 무성하게 자라고 더워짐
가을 입추, 추분, 상강 곡식 수확, 서늘해짐
겨울 입동, 동지, 소한, 대한 추워지고 다음 농사 준비

3. 소서(小暑)는 24절기 중 어디에 위치하나요?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 절기입니다. 여름을 나타내는 6개의 절기 중 다섯 번째에 해당합니다.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소서의 정확한 위치

소서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위치합니다. 하지가 1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이라면, 소서는 그로부터 약 15일 뒤에 찾아옵니다. 양력으로는 보통 7월 6일이나 7일경에 해당합니다. 작은 더위가 시작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실제로는 장마철과 겹쳐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집니다.
  • 24절기 중 11번째입니다.
  • 여름 절기 중 다섯 번째입니다.
  • 하얗게 대서 사이에 위치합니다.
  • 양력 7월 6일 또는 7일경입니다.

소서와 농사 활동

소서 무렵에는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벼가 한창 자라나는 시기이므로 논의 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병해충 발생도 잦아지는 때이므로 농작물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감자나 옥수수 등 일부 밭작물은 수확을 시작하기도 합니다.

4. 소서 절기의 기후적 특징

소서는 이름과 달리 결코 '작은 더위'가 아닙니다. 장마와 함께 높은 습도와 기온으로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장마와 무더위의 시작

소서는 본격적인 장마철과 맞물립니다. 비가 자주 내리고 습도가 높아져 후텁지근한 날씨가 이어집니다. 농작물에는 풍부한 수분을 공급하지만, 사람들에게는 끈적이는 더위로 인해 지치기 쉬운 때입니다. 건강 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 본격적인 장마철입니다.
  •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특징입니다.
  • 사람들이 지치기 쉬운 시기입니다.

소서와 관련된 속담

옛 조상들은 소서의 기후 특성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를 말뚝에 발을 댄다"는 속담은 소서가 지나면 더위로 인해 모내기 일손이 바빠져 새댁도 논에 뛰어들 정도로 바빠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절기 구분 순서 시기 (양력 기준)
여름 절기 1. 입하 5월 5일 또는 6일경
2. 소만 5월 20일 또는 21일경
3. 망종 6월 5일 또는 6일경
4. 하지 6월 21일 또는 22일경
5. 소서 7월 6일 또는 7일경
6. 대서 7월 22일 또는 23일경

5. 소서와 관련된 전통 풍습

소서에는 더위를 이겨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다양한 풍습들이 있었습니다.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논매기와 논두렁 관리

소서 무렵은 장마와 함께 벼가 한창 자라는 때이므로 논매기가 중요했습니다. 논두렁을 튼튼하게 관리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품앗이를 통해 함께 농사일을 돕는 문화가 활발했습니다.
  • 논매기가 중요한 시기입니다.
  • 논두렁을 튼튼하게 관리했습니다.
  • 품앗이가 활발했습니다.

소서를 이용한 민간요법

소서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해 오이나 수박 등 제철 과일을 즐겨 먹었습니다. 또한, 소서에 내리는 비는 약이 된다고 믿어 비를 맞으며 더위를 식히기도 했습니다. 팥이나 녹두를 이용한 음식을 만들어 더위를 이겨내기도 했습니다.

6. 현대의 소서와 생활의 변화

현대사회에서 24절기는 농사 외에도 다양한 의미로 활용됩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절기의 의미가 퇴색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계절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후 변화와 절기의 의미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절기의 전통적인 의미와 실제 날씨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서임에도 불구하고 폭염이 일찍 찾아오거나, 장마가 늦어지는 등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24절기는 여전히 우리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습니다.
  • 절기의 의미와 실제 날씨가 다를 수 있습니다.
  •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소서에 즐기는 현대인의 휴식

현대인들은 소서의 무더위를 에어컨이나 피서지에서 보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철 음식을 챙겨 먹고, 가벼운 운동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중요합니다. 자연의 흐름을 따르며 슬기롭게 여름을 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FAQ 자주하는 질문

Q1. 24절기는 누가 만들었나요?
A. 24절기는 고대 중국에서 농업을 위해 태양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동아시아 각국으로 전파되어 사용되었습니다.

Q2. 소서는 양력으로 항상 같은 날인가요?
A.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기준으로 하므로, 양력으로는 거의 같은 날에 해당하지만, 지구 공전 궤도의 미세한 변화로 인해 윤년 등에는 하루 정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7월 6일 또는 7일경입니다.

Q3. 소서와 대서는 어떻게 다른가요?
A. 소서는 '작은 더위'를 의미하며, 대서보다 먼저 찾아옵니다. 대서는 '큰 더위'를 의미하며, 소서 이후에 찾아와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입니다. 둘 다 여름의 무더위를 나타내는 절기입니다.

Q4. 24절기가 현대 생활에도 중요한가요?
A. 24절기는 농업의 중요성이 줄어든 현대에도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후 변화를 인식하고 대비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5. 소서에 특별히 추천하는 음식이 있나요?
A. 소서에는 밀가루로 만든 국수류(콩국수, 칼국수 등), 감자, 옥수수 등 제철 곡물과 채소가 좋습니다.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보양식으로 삼계탕이나 장어도 추천됩니다.

Q6. 24절기는 농사 외에 어떤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나요?
A. 24절기는 농업 외에도 기상 예측, 환경 교육, 전통문화 행사 기획, 그리고 문학이나 예술 분야에서 계절감을 표현하는 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 이전